운 해 의 산 방

고정 헤더 영역

글 제목

메뉴 레이어

운 해 의 산 방

메뉴 리스트

  • 홈
  • 방명록
  • 분류 전체보기 (2388)
    • ㉠ 자유로운 글 (49)
    • ㉡ 지명과 유래 (11)
    • ㉢ 문화유적을 찾아서 (105)
    • ㉣ 십승지를 찾아서 (2)
    • ㉤ 일반산행 記 (318)
    • ㉥ 백두대간 記 (45)
    • ㉦정맥·지맥·기맥 記 (25)
    • ㉨ 풍경사진 (109)
    • ㉧ 산행사진 ! (216)
    • ㉩ 기암과괴석! (53)
    • ㉪ 정 상 표 지 석 (248)
    • ♣ 우리야생화 (647)
    • ㉪ 등산지도 (267)
    • ㉫ 등산자료실 (8)
    • ㉬ 기본앨범 (53)
    • ♣동영상 (1)

검색 레이어

운 해 의 산 방

검색 영역

컨텐츠 검색

㉡ 지명과 유래

  • 지명(地名)으로 본 대륙조선(大陸朝鮮) -펌-

    2009.09.16 by 운해

  • 백두대간 지명의 유래와 변천사(대관령~피재구간)1-4

    2009.09.09 by 운해

  • 백두대간 지명의유래와 변천사(조침령~대관령산신각) 1-3

    2009.08.28 by 운해

  • 백두대간 지명의 유래와 변천사 (진부령~북암령)-1-2편-

    2009.07.28 by 운해

  • 백두대간 지명의 유래와 변천사 [本文]

    2009.07.02 by 운해

  • 산경표에 나타나는 백두대간의 수다산과 백병산의 現 지명과 옛 지명 !

    2009.06.23 by 운해

  • [속리산]는 두 개의 구봉산으로 이루어진 산이다.

    2009.06.19 by 운해

  • 운문산의 고찰!

    2009.05.14 by 운해

지명(地名)으로 본 대륙조선(大陸朝鮮) -펌-

글쓴이 천상희 (참고문헌은 한국고전 번역원의 글을 참조,인용 하였습니다.) 임하필기(林下筆記) 제35권 벽려신지(薜荔新志)의 기록을 보면,조선의 옛날 관청(官廳)의 명칭을 언급하고 있는데,그 명칭들이 하나같이 대다수가 현재의 대륙에 있는 지명들으로 이루어져 있어 참으로 놀랍습..

㉡ 지명과 유래 2009. 9. 16. 09:29

백두대간 지명의 유래와 변천사(대관령~피재구간)1-4

백두대간 지명의 유래와 변천사(대관령~피재구간)1-4 1-3을 이어서........... 남한의 백두대간 중 가장 난해하고 지명이 불투명한 곳이다. 소우음산과 ㅡ능경봉. 고루포기산-소은백이산, 삽현-삽당령의 관계에 대해 풀어보고자 한다. 결론부터 말한다면 소우음산은 발왕산이요, 소은백이산은 옥녀봉이며 ..

㉡ 지명과 유래 2009. 9. 9. 23:55

백두대간 지명의유래와 변천사(조침령~대관령산신각) 1-3

본문1-2를 이어서 백두대간의 유래와 변천사 읍지류 양양에서 嶺路連水坡嶺西北七十五里五色嶺 弼奴嶺 朴達嶺俱西五十里麟蹄界所冬羅嶺(曺枕嶺兄弟峴)西六十里絶險舊有通京大路麟蹄界九龍嶺西南六十五里江陵界(영로 연수파령(미시령)은 서북쪽 75리에 있으며 오색령.필노령.박달령은 모두 서쪽 ..

㉡ 지명과 유래 2009. 8. 28. 09:34

백두대간 지명의 유래와 변천사 (진부령~북암령)-1-2편-

백두대간 남한구간인 진부령에서 지리산까지 옛 지명과 현재 사용하고 있는 지명에 대한 비교와 함께 잊혀져 가는 역사속의 기록을 남겨 선조들의 얼을 되새겨 보고 자 함이다.(이 글은 私見임을 전제로 한다) 本文을 이어서.... 백두산에서 출발하여 지리산까지 이어지는 산줄기(백두대간) 중 남북분..

㉡ 지명과 유래 2009. 7. 28. 09:04

백두대간 지명의 유래와 변천사 [本文]

이 글은 백두대간(남한구간)을 3차에 걸친 답사와 이론으로 접했던 산경표와 고지도에 나타난 옛지명과 현지명의 변천에 대해 알아보면서 역사속에 묻혀 버린 옛 지명에 대한 기록을 남기고자 작성하였다. 산경표에 나타난 백두대간의 지명과 변천사 1.백두대간의 이해 2.문헌에 나타나는 백두대간 3...

㉡ 지명과 유래 2009. 7. 2. 10:52

산경표에 나타나는 백두대간의 수다산과 백병산의 現 지명과 옛 지명 !

이 글은 산경표에 나타나는 수다산과 백병산에 대한 옛 지명에 대한 혼동에서부터 시작 되었다. -목 차- 1. 산경표에 나타나는 수다산과 백병산 2. 고지도에 나타나는 수다산과 백병산 3. 현재의 지명과 옛 지명의 비교 4.결론 80년대 초 까지만 하여도 소백산맥이나 태백산맥 등은 배워 알았지만,백두대..

㉡ 지명과 유래 2009. 6. 23. 19:10

[속리산]는 두 개의 구봉산으로 이루어진 산이다.

속리산의 고찰 ※ 이 글은 산경표를 접하면서 가졌던 속리산과 봉황산 사이에 있는 九奉山의 위치는 어디일까? 하는 우문(愚門)에서 출발하였다. 本文의 내용이 현답( 賢答)일 수 있으나, 개인의 연구이므로 사견(私見)임을 전제로 한다. 1.속리산의 이해 2. 문헌과 산경표에 나타나는 속리산과 구봉산 3..

㉡ 지명과 유래 2009. 6. 19. 20:19

운문산의 고찰!

운문산! 위치에 대한 고찰 문헌과 고지도에 나타나 있는 운문산과 현재의 운문산을 비교 해 보고자 한다. 이 글을 쓰기까지 운문산의 정확한 위치에 대해 고민하다 상이한 점이 발견되어 아래와 같이 정리 해 보기로 한다. 이 부분 많은 분들이 관심을 가지고 함께 연구하여 운문산이 제 위치를 찾기 ..

㉡ 지명과 유래 2009. 5. 14. 20:26

추가 정보

인기글

페이징

이전
1 2
다음
TISTORY
운 해 의 산 방 © Magazine Lab
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

티스토리툴바